식습관

가공육, 건강에 왜 해로운가요?

닥터레터 2025. 3. 16. 21:54
반응형

 

안녕하세요. 닥터레터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 가공육, 건강에 왜 해로울까요? > 입니다. 

맛있는 음식은 몸에 해롭고 맛 없는 음식은 몸에 좋다는 속설이 생각납니다. 

맛있는 가공육은 왜 건강에 해로운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먼저 가공육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가공육이란?
가공육은 신선한 고기를 염장, 훈제, 발효, 건조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보존성을 높이고 맛을 변화시킨 식품을 말합니다. 햄, 소시지, 베이컨, 스팸, 육포 등이 대표적인 가공육입니다.

 

 

가공육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염지 가공육:

  • 햄 (Ham): 돼지 뒷다리 살을 소금에 절이거나 훈연하여 만든 가공육입니다. 뼈가 있는 본인 햄(bone-in ham), 뼈를 제거한 본레스 햄(boneless ham), 통햄, 슬라이스 햄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 베이컨 (Bacon): 돼지 복부(삼겹살)를 소금에 절이거나 훈연하여 만든 가공육입니다. 주로 얇게 썰어 구워 먹습니다. 

  • 염지 소고기 (Corned beef): 소 양지머리 등을 소금에 절여 만든 가공육입니다.

2. 소시지 (Sausage):

  • 생 소시지: 돼지고기, 소고기 등을 갈아 양념과 함께 케이싱(동물 창자 또는 인공 케이싱)에 채워 넣은 후 익히지 않은 소시지입니다. (예: 이탈리안 소시지)
  • 훈연 소시지: 생 소시지를 훈연하여 만든 소시지입니다. (예: 킬바사, 폴란드 소시지)
  • 반건조 소시지: 수분을 일부 제거하여 만든 소시지입니다. (예: 페퍼로니)
  • 건조 소시지: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만든 소시지입니다. (예: 살라미)
  • 발효 소시지: 유산균 등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소시지입니다. (예: 여름 소시지)
  • 블러드 소시지 (Blood sausage): 동물의 피를 곡물, 채소 등과 섞어 만든 소시지입니다. (예: 순대, 블랙 푸딩)
  • 프랑크푸르트 소시지 (Frankfurter): 가늘고 긴 형태의 훈연 소시지로, 흔히 '핫도그'라고 불립니다.
  • 비엔나 소시지 (Vienna sausage): 짧고 통통한 형태의 훈연 소시지입니다.

3. 분쇄 가공육:

  • 미트 로프 (Meatloaf): 다진 고기에 빵가루, 채소, 양념 등을 섞어 덩어리 형태로 만든 후 오븐에 구운 요리입니다.
  • 햄버거 패티 (Hamburger patty): 다진 소고기를 둥글납작하게 만들어 구워 먹는 가공육입니다.
  • 미트볼 (Meatball): 다진 고기에 빵가루, 채소, 양념 등을 섞어 동그랗게 빚은 후 조리한 요리입니다.

4. 건조 가공육:

  • 육포 (Jerky/Biltong): 소고기, 돼지고기 등을 얇게 썰어 양념한 후 건조시킨 가공육입니다.
  • 프로슈토 (Prosciutto): 돼지 뒷다리를 소금에 절여 건조 숙성시킨 이탈리아 전통 햄입니다.

5. 통조림 가공육:

  • 스팸 (Spam): 돼지고기, 햄, 소금, 설탕, 아질산나트륨 등을 섞어 만든 통조림 가공육입니다.
  • 런천미트 (Luncheon meat): 돼지고기, 닭고기 등을 섞어 만든 통조림 가공육입니다.
  • 참치캔, 연어캔 (엄밀히는 육류는 아니지만): 생선을 가공하여 통조림 형태로 만든 제품도 넓은 의미에서 가공육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6. 기타:

  • 테린 (Terrine): 고기, 생선, 채소 등을 다지거나 갈아서 틀에 넣어 굳힌 프랑스 요리입니다.
  • 파테 (Pâté): 고기, 간, 지방 등을 갈아 만든 스프레드 형태의 프랑스 요리입니다.

가공육은 편리함과 특유의 맛 때문에 많은 사람이 즐겨 먹지만,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의해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1. 건강 위험 증가:
    • 심혈관 질환 위험: 가공육에는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과도한 포화지방 및 콜레스테롤 섭취는 혈관 건강을 악화시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입니다.
    • 암 발생 위험: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가공육을 1군 발암물질로 분류했습니다. 가공육 섭취가 대장암, 위암 등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특히, 가공 과정에서 생성되는 니트로사민, 헤테로사이클릭아민(HCAs),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등의 유해 물질이 발암 위험을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 기타 질병 위험: 가공육의 과도한 섭취는 당뇨병, 비만 등의 만성 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높은 나트륨 함량:
    • 고혈압 유발: 가공육은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양의 소금(나트륨)을 사용합니다. 과도한 나트륨 섭취는 혈압을 상승시켜 고혈압을 유발하고, 심혈관 질환, 뇌졸중 등의 위험을 높입니다.
    • 신장 기능 저하: 과도한 나트륨 섭취는 신장에 부담을 주어 신장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3. 식품 첨가물:
    • 유해성 논란: 가공육에는 맛, 색, 향, 보존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식품 첨가물이 사용됩니다. 아질산나트륨, 인산염, 인공색소, 인공향료 등 일부 첨가물은 과다 섭취 시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는 논란이 있습니다.
    • 알레르기 유발: 특정 첨가물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에게는 가공육 섭취가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영양 불균형:
    • 필수 영양소 부족: 가공육 위주의 식단은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등 다른 필수 영양소의 섭취 부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영양 불균형으로 이어져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가공육은 편리하고 맛있지만, 건강을 위해서는 섭취량과 빈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공육을 선택할 때는 영양성분표와 원재료를 꼼꼼히 확인하고, 가능한 한 첨가물이 적고 나트륨 함량이 낮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공육을 섭취할 때는 채소와 함께 섭취하여 영양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